목차
1. 신장 수혜자 선정
2. 신장 공여자 선정
3. 수술전 검사 및 준비
4. 신장이시 과정과 이식 후 간호
5. 신장이식 후 합병증
6. 거부반응 억제요법
본문내용
신장이식(renal transplantation)은 신장이 점차 기능을 잃어 말기신부전이 되었을 때 건강한 신장을 신체내에 이식하는 수술로서, 생체이식과 사체이식으로 구분된다.
1. 신장 수혜자 선정
- 회복이 불가능한 신부전 상태에 이다,
- 면억억제제에 의해 악화될 수 있는 활동성 감염이나 악성 질환이 없다.
- 요로 기능이 정상이다.
- 연령은 대부분 15~60세이다 그러나 2세이하의 소아나 65세이상 노인도 가능하다.
2. 신장 공여자 선정
- 수혈이 가능한 혈액형이여야 한다.
- 조직접합성이 있어야 한다.
- 건강상태가 양호하고 정상 신장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전신마취나 수술에 금기조건이 아니여야하며, 연령은 원칙적으로 18~60세이다.
- 신혈관조영술이나 경정맥요로촬영술에서 혈관상태나 요로상태가 정상이여야한다.
- 정신적, 윤리적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