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Ⅱ.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Ⅲ. 감각과 지각
Ⅳ. 학습
Ⅴ. 기억
Ⅵ. 언어와 사고
Ⅷ. 동기와 정서
Ⅸ. 성격
Ⅹ. 심리검사와 지능
Ⅺ. 이상행동과 적응
본문내용
<심리학의 정의>
● 심리학 = 행동과 정신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현대 심리학의 역사>
● 구성주의 심리학
‘분트’, ‘티치너’, 내성법
- 마음(의식)의 구조 = 여러 가지 구성요소의 결합 ⇒ 전체 = ∑부분
● 기능주의 심리학
‘제임스’, ‘듀이’
- 의식 or 정신과정 = 하나의 상태 ⇒ 의식의 전체적인 기능을 밝혀야 한다!
● 형태주의 심리학
‘베르트하이머’, ‘코프카’, ‘쾰러’ → “게슈탈트 심리학”
- 마음(의식) = 잘 조직된 하나의 전체 ⇒ 전체 ≠ ∑부분
<중 략>
'부적 강화' : 바라지 않는 어떠한 것을 제거하여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 시키는 것.
ex) 어두운 곳에서 책을 볼 때, 형광등을 켰더니 밝아졌다. 그 결과, 어두운 곳에서 책을 볼 때마다 형광등을 켜는 횟수가 증가하였다.
'정적 처벌' : 어떠한 자극을 제시했을 때, 유기체의 반응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
ex) 수업시간에 조는 학생에게 졸 때마다 분필을 던졌다. 그 결과, 수업시간에 학생이 조는 횟수가 감소되었다.
'부적 처벌' : 어떠한 자극을 제거했을 때, 유기체의 반응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
ex) 애완고양이가 잘못을 했을 때, 밥을 주지 않았다. 그 결과, 잘못된 행동의 빈도가 줄어들었다.
<중 략>
<성격의 정의>
'성격' - 환경에 대한 개인의 독특한 적응을 결정하는 개인 내의 정신적‧신체적 체계의 역동적 조직.
<성격의 결정 요인>
① 개인적인 특성 - 생물학적 요인
② 환경적 측면 - 개인이 속한 가정과 사회, 성별 등에 따라 경험하고 타인과 가지는 관계
● 생물학적 요인
● 환경적 요인
<성격 이론>
● 정신역동 이론
(1) 프로이트 - 정신분석학(정신결정론, 무의식적 동기)
어린 시절이 성격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후 5~6년 동안의 경험이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줌.)
삶의 본능의 에너지 = 리비도( libido, 성욕)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