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긍정적 행동지원의 정의
2. 긍정적 행동지원의 특징
3. 응용행동분석과의 차이점
4. 긍정적 행동지원에 영향을 미친 변인
5. 긍정적 행동지원의 가정
6. 중재전략
7.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방안
본문내용
① 문제행동의 빈도나 강도, 지속시간의 감소뿐 아니라 생활양식의 변화를 강조
② 문제행동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을 상황을 파악하고 그 행동을 유지시키는 후속 반응을 파악
③ 다중 요소적인 중재를 제공
④ 문제행동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생태학적 사건과 배경 사건을 조절
⑤ 문제행동이 발생하기 직전에 나타난 선행 사건을 조작
⑥ 적절한 행동을 통해 가질 수 있도록 대체행동을 지도
⑦ 벌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다시 지도
⑧ 사회적 타당성과 인간의 존엄성에 기초
<중 략>
응용행동분석
인간의 행동과 학습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자극-반응-후속 자극’
배경 사건과 자극 통제, 일반화와 유지 등의 개념을 사용한 것
정상화와 완전통합
정상화의 원리
-사회적 통합
-지역사회 환경에서 살아야 한다는 의미
완전통합의 원리
-지역사회 내의 환경에 능동적으로 참여
-조건 없이 동등한 기회를 제공받아야 한다는 원리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