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수·학습 과정 안 작성 시 유의점
2. 지도안 작성 시 유의점
3. 수업 시연 시 유의점
4. 수업할 때, 유의해야 하는 평가기준
5. 수업실연 스크립트
본문내용
· 학습목표와 학습순서는 초성퀴즈나 핵심 키워드 비워두기
· 여러 가지 교구나 컴퓨터, TV 등이 있다는 가정을 꼭!, 판서도 시늉해야한다.
· 발문 처리 방법
- 자세히 말해봅시다.
- OO의 말을 조금 더 보충해서 말해줄 수 있는 학생 있나요?
· 발문은 다양하게,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는 모습 많이 보이기
- 발문을 어려워해서 다시 더 쉽게 풀어서 말해주는 모습 보이기
· 오개념이 있는 학생 가정하고 지도
- 다른 학생이 오개념을 고쳐주고, 다시 오개념을 말한 학생이 이를 발표해보게 함
· 판서를 하거나 자료를 사용할 때 모든 학생이 잘 보이는 지 확인
· 다른 행동을 하고 있는 학생에게 발문하거나 중간에 주의집중 한번 하여 수업 환기하기
· 순회지도 시 부진아지도
<중 략>
· 교사는 항상 학습자의 모든 면을 긍정적으로 관찰하고 언제든지 칭찬할 수 있도록
칭찬꺼리를 적극적으로 찾는가?
· 질문을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확인하는가?
· 오답을 제시하는 학생이라도 오답 수정 후, 적극적인 응답 태도를 칭찬하여 학습참여
의지를 높이는가?
· 창의적인 답변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칭찬하는가?
<중 략>
구호준비~ 구호 시~ 작! “선생님과 함께하면 생각이 쑥쑥, 창의력이 팡팡!” 인사와 함께 즐거운 사회수업을 시작해 봅시다. 바로~ 인사~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여러분, 지난 시간에는 조선 후기 다양한 서민들의 문화에 대하여 배웠어요. 서민들의 문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한 번 발표해 봅시다. 와~ 우리 반 학생들이 손을 많이 들어 주었네요. 그러면 두더지 발표로 해 봅시다. 내가 발표를 꼭~~~ 해야 할 사람 일어나세요. 앞에 친구가 발표한 내용과 자신의 의견이 같으면 앉아야 하는거 잊지 않았겠죠? 그럼 민우부터 시작해 봅시다.(잠시 후) 모두들 지난시간에 배운 내용을 잘 기억하고 있네요.
오늘 배울 내용을 알아보기 전에 선생님이 이야기를 하나 들려줄 거에요. ‘나무꾼과 산신령’의 이야기를 약간 바꾸어 들려줄테니 이야기를 듣고 오늘 어떤 공부를 하게 될지 생각해 봅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