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시각문화의 정의
2) 시각문화의 변천
3) 시각문화의 문제점
4) 시각문화 재개념화의 필요성
5) 재개념화로써의 시각문화와 미술교육 방안 연구
6) 시각문화의 재개념화로써의 미술교육 프로그램
3.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1. 서론
- 현대 사회는 시각문화의 사회로 다양한 시각문화의 발달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성이 강조
- 특히 미술교육과정 개정에 있어 시각문화를 강조
-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 시각문화에 대한 재개념화 작업이 요구
- 시각문화의 청소년 활용에 따른 문제점 발생
- 시각문화의 재개념화를 목적으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연구 제시함에 따라 청소년들에게 보다 나은 시각문화의 장을 마련
2. 본론
1) 시각문화의 정의
- 스베틀라나 앨퍼스(1983) : “이미지가 세상을 재현함에 있어 중심적 역할을 하는 특정 시대와 문화”
- 존 A.워커, 사라 채플린 : 종합적인 형식으로 시작된 학문으로 보고, 시각과 문화 각각의 의미 연구
· 시각문화의 영역
: 물리적 인공물, 건축물, 이미지, 시각적 미디어와 퍼포먼스
· 시각문화의 기능
: 미적, 상징적, 이데올로기, 정치적 목적, 실용적
- 말콤 버나드 : 인간이 시각적으로 생산, 해석, 기능적, 의사소통적인 미적 의도를 갖은 모든 것으로 다양한 시각매체를 통해 제작된 이미지에 의한 문화현상을 총칭
2) 시각문화의 변천 : 시각문화는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으며 시대의 요구에 따라 가장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장르라 할 수 있다.
<중 략>
3) 시각문화의 문제점
- 성인보다 청소년이 시각문화에 더욱 많은 시간 노출
- 아직 성숙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자아정체감의 갈등과 혼란, 불안감 가중
- 모바일 사용자와 인터넷 이용자 확대
♣ 나타나는 문제점
- 청소년의 건전한 인격 형성 방해
- 청소년의 두뇌에 악영향
- 수업시간 흥미를 잃고, 성적저하
- 올바른 사리판단 불가능, 사회적 병리적 현상 노출
4) 시각문화 재개념화의 필요성
- IT와 CT 문화는 시각문화의 장을 확장 시킨 중심 ➔ 급속한 발달과 변화에 따르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
- 대안 : BT와 ET의 문화가 시각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연구 개발
- 청소년의 교육 중 시각문화에서 오는 문제점 파악 후 재개념화 재고 후 교육현장에서 수용화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