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기물관리에 있어 수거부분에 대한 레포트
폐기물의 정의
폐기물의 수거체계
수거차량 종류
최소경로설정
목차
폐기물의정의
폐기물수거의 정의
폐기물수거의 역사
폐기물 수거차량의 종류
폐기물 수거체계
외국의 수거체계
광주광역시 폐기물 수거체계
본문내용
● 폐기물수거의 역사
1200~1700년대 : 영국에서 250만명이 흑사병으로 사망
최초의 청소부(Rakers) 개념 정립
1700~1900년대 : The public Health Art(1875) 설립 - 쓰레기수거기관
이동식 저장소 이용하기 시작
쓰레기를 매립하는 방식이 처음 제안됨
1900~1920년대 : 바다, 습지대, 지정된장소 등에 쓰레기 투기
대부분의 폐기물을 매립하거나 소각하기 시작
쓰레기를 수거하는 매체가 수레에서 자동차로 전환
1990년대 이후 : 체계적인 매립장이 설치되고 운영되기 시작함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폐기물 재활용 수준이 높아짐
● 폐기물 수거체계
크게 5단계로 정의될 수 있다.
단계 1 : 가정에서 쓰레기통으로 이동
1단계에서의 폐기물 수거 효율과 편의성은 거주자의 개인적 성향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관계기관이나 연구자들의 관심을 거의 받지 못했다. 폐기물 수거의 가장 큰 약점은 각 배출자들이 겪는 불편함이라고 할 수 있겠다.
대부분의 미국 지자체에서는 폐기물 수거나 처분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세금을 사용하거나 혹은 상/하수도 요금과 마찬가지로 폐기물 처리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부과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폐기물 배출량과는 상관없이 모든 배출자에게 동일한 비용이 부과되며, 이에 배출자는 자유롭게 폐기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안할 수 있도록 각 지자체는 폐기물 발생량 관리와 규제를 위한 새로운 폐기물 비용 부과 프로그램(이른바 종량제)을 시행하고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폐기물 수거에 소요되는 비용에 부피종량제를 적용하고 있다. 즉, 부피요금제에서는 각 거주자들에게 각 110, 230, 340리터 크기의 세 가지 용기를 제공하고, 사용하는 용기의 크기에 따라 폐기물처리 시스템에 대해 차등 요금을 적용하는 것이다. EPA 보고에 따르면, 부피요금제로 전환한 지역의 경우 폐기물 발생이 25~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모든 용기의 무게를 재서 실제 배출 폐기물의 중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이른바 중량요금제를 적용하는 곳도 있다.
cf : 우리나라에서 1995년부터 쓰레기 수수료 종량제 실시
참고 자료
폐기물처리공학(남궁완 ∙ 이동훈, 동화기술)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의 민간위탁 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자치행정과 기세자’
광주시청 ‘시정백서’
북구청 ‘구정백서’
www.acedisposal.com (발전과정)
http://en.wikipedia.org/wiki/Garbage_truck (차량사진)
http://www.wm.com/residential.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