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ntithrombin llI 약에 관한 기본정보 입니다
목차
1. 혈액 응고
2. Antithrombin Ⅲ
3. DIC의 진단기준(한국 지혈 혈전학회)
4. Antithrombin Ⅲ제제
본문내용
③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 패혈증, 외상, 중증 간질환, 산과적 질환, 악성종양 같은 질환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지혈 혈전계의 합병증.
- 혈액 응고계의 활성화가 초래됨으로써 다발성의 미세 혈전이 체내에 형성되어 미세 순환 장애를 일으키며, 광범위한 혈관내 섬유소 침착에 의해 조직의 허혈성 손상 발생.
- 동시에 혈소판 및 각종 혈액 응고인자가 과도하게 소모되어 결국 소모성 응고장애에 의 한 출혈이 발생.
- acute DIC는 수시간에 걸쳐 빨리 진행되며, 점상출혈, 자반 등 출혈 증상이 심할 때가 많고, 사망율이 50%가 넘는 위험한 상태임.
- 치료 : 원인질환 치료, transfusion, vit K 공급, heparin, AntithrombinⅢ 투여.
3. DIC의 진단기준(한국 지혈 혈전학회)
=> 다음 4항목 중 3항목 이상 만족
① Platelet < 100,000/㎕
② PT(prothrombin time): 정상(11~12.5s)보다 3초 이상 연장 or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정상(30~40s)보다 5초 이상 연장
③ FDP(fibrin degradation product) > 10㎕/㎖ or D-dimer> 320㎎/㎗
④ fibrinogen < 150㎎/㎗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