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루와 장루관리에 대한 교육(간호)
목차
1. 서론
2. 본론
1) 장루
2) 장루의 원인
3) 종류
4) 장루 형성술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5) 간호
3. 결론
본문내용
1. 장루
- 직장이나 대장, 소장 등의 질병으로 인해 대변 배설에 어려움이 있을 때 복벽을 통해
체외로 대변을 배설시키기 위하여 만든 구멍
- 장루는 항상 촉촉하며 모세혈관이 분포되어 색깔은 붉고, 모양은 동그랗거나 타원형이며, 소량의 점액이 분비된다.
- 신경이 없어 만져도 아프지 않으며 자극을 주면 약간의 출혈이 있을 수 있으나 누르거나 지압하면 멈춘다.
- 장루의 크기나 모양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수술 후 차차 작아지기 시작하여 5-6주 후에는 거의 자기 모양과 크기를 갖게 된다.
- 장루에는 항문의 괄약근과 같은 조절능력이 없어 대변이 수시로 배출되므로 부착물을 이용하여 관리한다.
2. 장루의 원인
(1) 결장루(Colostomy)의 원인
- 95%이상이 직장암이나 대장암 등의 악성종양
- 흔치않으나 장결핵, 크론씨병, 거대결장증, 척추기형, 무항문증 등이 원인
(2) 회장루(Ileostomy)의 원인
- 가족성 용종증, 궤양성대장염, 크론씨병, 장결핵, 거대결장증, 대장암 등
3. 종류
(1) 장루의 기간적 분류
① 일시적 장루
- 어떤 조건하에서는 하부장관을 쉬게 하기 위해, 일정 기간만 대변이 하부 결장에 도달 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질병의 치료를 시도. 수주, 수개월, 혹은 수년이 경과될 수 있 으나 결국, 인공항문은 제거되고 정상적인 장관으로 이어지게 된다.
② 영구적 장루
- 질환이 있는 부분을 전체적으로 제거하거나 영구적으로 분리시켜 버리고 인공항문을 만들어 주는 것. 나중에 장관을 이어서 수술 전과 같이 다시 회복시킬 수 없다.
(2) 장루의 형태적 분류
① 일반적 장루
- 가장 보편적으로 형성되는 장루로써 대부분 기존 항문을 완전 봉합한 영구적 장루 시술에 많이 적용되는 형태이다.
② 환영루(loop colostomy)
- 상행 및 횡행 결장루에 주로 적용되는 형태
참고 자료
최신기본간호학 하권 p1019~1023/ 김명자외/ 현문사
성인간호학上 p.773~782/ 전시자외/ 현문사
성인간호학Ⅱ上p.853~867/ 서문자외/ 수문사
대장항문학 p.673~684/ 박재갑/ 일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