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서론,본론,결론 잘썼습니다.
역사,정의,종류,제조공정,효능까지
목차
▶서론
건강식품 요구르트/ 서양과 한국/ 근대적 제법/ 제조공정과 발효균의 다양성
▶본론
1. 요구르트의 역사
2. 요구르트의 정의
3. 요구르트의 종류
4. 요구르트의 제조원리 및 방법
① 스타터 미생물의 역할
② 요구르트 향미 성분
③ 단백질의 변화
④ 지방의 변화
5. 요구르트의 제조공정
6. 섭취시 주의점
7. 효능
8. 집에서 만드는 요구르트
*보충자료: 혼합 요구르트 연구: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9. 우유와 두유를 혼합한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
10. 마늘분말 첨가가 요구르트 제조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
▶결론
요구르트의 영양학적 가치/ 유당 불내증과 요구르트/ 요구르트의 항암 효과/ 다양한 가공품
본문내용
요구르트는 원래 우유를 원료로 제조된 것으로 완전식품에 가까운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다. 유산균에 의해 생성된 유기산과 장내유해세균의 억제와 장의 기능성 향상, 혈청 콜레스테롤의 저하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진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우유 가공품인 수많은 발효유가 생산 및 소비되고 있다. 서양에서는 원료유로 전지우유를 쓰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주로 탈지유를 쓰고, 풍미와 외관을 위해 탈지분유, 가당연유, 한천 등을 첨가하고, 감미료로서 설탕, 꿀 등을 첨가하여 균질화 시켜 가열, 살균한다. 제조공정과 발효균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근대적 제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우유·탈지유 또는 유제품을 원료로 하는 환원유를 가열, 살균하여 젖산균 발효온도(약 40℃)까지 냉각시킨 다음, 순수 배양시킨 젖산균을 접종, 혼합한 30∼40℃ 범위에서 5∼10시간 동안 발효시키고 그 뒤 발효의 진행을 중지시키기 위해 10℃ 이하로 냉각시킨다. 사용되는 젖산균은 젖산의 생성력이나 발효의 향미를 주기 위해 선택되나 보통은 Lactobacillus bulgaric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idophillus 등을 몇 종류 혼합해서 사용한다. 또한 요구르트로 대변되는 발효유의 역사는 매우 깊다. 세계 건강식품중 하나인 요구르트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요구르트의 역사
원래 요구르트는 양젖이나 말젖으로 만들었다. 동물의 젖을 짜서 물주머니 속에 넣고 이틀정도가 지났는데 우연히 유산균이 떨어져서 번식되고 굳어버려서 묘한 형태를 띄게 되었다. 이 상태로 변한 동물의 젖이 잘 상하지 않았다. 이것이 시초이다.
러시아의 세균학자 메치니코프가 발칸 지방에 장수자가 많은 것은 요구르트를 상용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제조와 음용이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었다.
이것이 상품화되어 과학적으로 제조, 시판된 것은 1900년대 프랑스에서 였고, 1960년대에 요구르트 붐이 일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1971년 한국 야쿠르트사가 일본의 기술을 도입하여 만들게 된 것이 최초였다.
참고 자료
- 우유와 유제품. 유한문화사. 윤여창
- 우유의 생산 및 유제품 가공학. 유한문화사. 박승용
- Daum 영양교육 cafe
- 충남대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