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DMB 시스템이란?
목차
1 DMB 란?
2 DMB 부호화 기술
3 데이터 구조 및 전송관련 기술
4 지상파 DMB
5 위성 DMB
6 DMB 서비스
본문내용
지상파 DMB란?
이동 중(최고 100km/h) 최대 7인치 이하의 화면에서 우수한 TV방송, CD수준의 오디오, 데이터 서비스의 수신이 가능
2005년 12월1일 부로 지상파 DMB서비스 시작
KBS,MBC,SBS를 포함한 총 7개의 채널과 13개의 오디오채널, 8개의 데이터 채널로 구성
상대적으로 적은 투자로 ‘내 손안의 디지털TV구현’
지상파 DMB의 특징
VHF 12, 8번 채널 이용 지상 송출
수신지역이 한정적
이용요금이 무료
투자비용 상대적 낮음 : 150억~500억(위성DMB : 3,000억~7,000억)
지상파 DMB 기술
구현방식
In-Band방식 : 기존 AM/FM 대역 사용 IBOC(미국)
Out of Band방식 : 새 주파수 대역 할당 Eureka-147(유럽), ISDB-TSB(일본)
우리나라 다중화 방식 표준
Eureka-147 채택
지상파 DMB 개선방향
난시청 지역 해소
지방의 채널 확보
DMB단말기의 성능개선
위성 DMB
위성을 이용한 서비스
위성 DMB용 방송센터에서프로그램을 위성으로 송출하면위성이 이를 전파를 통해 전국DMB에 뿌려주는 형식
참고 자료
Disital TV
TU Media
네이버
항공우주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