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균여의 상수불학가의 배경설화와 내용의 독음과 현대해석을 담은 보고서.
상수불학가의 현대어 해석은 양주동과 김완진의 해석을 비교하면서 같이 실음
목차
<배경설화>
<해석>
본문내용
상수불학가(常隨佛學歌)
균여(均如) (고려, 923-973)
<배경설화>
①復次 善男子 言 常隨佛學者/ ②如此娑婆世界 毘盧遮那如來 從 初發心 精進不退/③以不可
부차 선남자 언 상수불학자/ 여차사바세계 비로자나여래 종 초발심 정진불퇴/ 이불가
說不可說 身命 而爲布施/ ④剝皮爲紙 析骨爲筆 刺血爲墨 書寫經典/⑤積如須彌 爲重法故 不설불가설 신명 이위보시/ 박피위지 석골위필 자혈위묵 서사경전/ 적여수미 위중법고 불
....................
▷ 해석
1행 我 佛 體 (아불체)
[양] 우리 부뎨
[김] 우리 부텨
我 : 우리(훈독) + 佛體 : 부텨(음독)
2행 皆 往 焉 世 呂 修 將 來 賜 留 隱 (개왕언세려수장래사유은)
[양] 니건 누리 닷려샤
[김] 모 간 누리 닷려시론
皆往 : 디나건(훈독) + 焉 : ㄴ(음독)
世呂 : 누리(훈독)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