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칸트가 주장했던 역사철학이 무엇인지에 대해 기술하였습니다.
목차
1. 칸트의 역사 철학의 위치
2. 칸트의 역사철학의 의미
3. 결론
본문내용
1. 칸트의 역사 철학의 위치
칸트의 역사철학이 차지하는 위치는 그가 <순수 이성 비판>에서 다룬 감성적 세계와 <실천 이성 비판>에서 다룬 초감성적 세계를 연결시키는 고리로서의 지위라고 할 것이다. 이 두 세계가 연결되어야만 하는 이유는 인간 자신이 바로 이 두 세계에 동시에 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순수이성비판 1781년 간행. 그의 비판철학의 첫번째 저서이며 철학의 역사에 한 시기를 이룩한 책이다. 이 책은 원리론과 방법론으로 나뉘었는데 원리론은 다시 선험적 감성론(先驗的感性論)·선험적 논리학으로 갈라졌다. 그리고 선험적 논리학은 또다시 선험적 분석론과 선험적 변증론으로 되어 있다.
>과 <프롤레메고나>에서 우리가 인식하는 감성적 세계가 철저하게 법칙의 지배를 받는 현상의 세계인 것을 보여준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현상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감각의 현상에다 우리 스스로 법칙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이 세계에서는 우연히 발생하는 일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것은 인과의 그물 속에 존재하며, 인간의 행위라 해서 특별한 지위가 부여되어 있지도 않다. 감성적 세계의 현상적 인간이란 법칙의 지배아래 행위 할 뿐이기 때문이다. 윤리적 기초를 정초하고자한 칸트의 <실천이성비판>과 <도덕 형이상학의 기초>에서 그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핵심은 인간은 절대적인 의무의 명령아래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가 도덕 철학에서 본인간은 참된 자유를 소유하고 있는 비시간적인 본체적 인간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는 우리가 준수하지 않을 수 없는 도덕률을 자연으로부터도 신으로부터도 온 것이 아닌, 우리자신의 명령이라고 보았다. 여기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참고 자료
칸트의 역사철학 ( 임마누엘 칸트 지음/ 이한구 편역 , 서광사 )
역사철학입문 ( W. H. 월쉬 지음/ 이진표 옮김 , 열음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