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 등록자료에 관하여 ▶▶▶
토목 시공학 수업을 듣는분이나 건설기계관련 수업을 듣는분 또는 현장에서 직접 건설기계를 다루는 분들이 보시면 도움이 될듯합니다.
각 건설기계의 특성과 어떤작업에 어떤 기계가 필요한지, 그리고 용도에 따른 건설기계의 종류를 조사했습니다.
또한 건설기계의 발달과정, 향후 건설기계의 동향에대한 자료입니다.
건설기계의 사진도 모두 첨부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건설기계의 개요
-. 정의 및 요구성
-. 기계화 시공의 장단점
-. 발달 과정
2. 건설기계의 종류
-. 건설기계의 분류
-. 건설기계의 종류별 특징
3. 의견 및 결론
-. 건설기계의 향후 동향
-. 의견 및 결론
본문내용
◎.건설기계의 개요
1.정의 및 요구성
토목,건축공사에 쓰이는 기계의 총칭을 말하며 고장이 적고 내구성 및 이동성이 좋아야 한다.
2.기계화 시공의 장단점
<장 점>
-공사단가 절감
-공사기간 단축
-확실한 시공 가능
-작업자 보호
-인력으로 불가능한 작업 가능
<단 점>
-기계의 설비비가 비싸다
-연료,기계부품,수리비 등이 필요
-숙련된 운전자 및 정비원이 필요
-소음,진동등의 공해 발생
2. 건설기계의 종류별 특징
◈. 굴착 운반용 기계
<불 도 저>
트랙터 앞에 배토장치를갖춘것으로 절토 운반에 적합하다.
건설공사에서 가장많이 사용되며 유효거리는 70m이하이다.
배토장치에 따라 불도저,앵글도저,틸트도저로 대별된다.
<스크레이퍼>
흙의 굴착,적재,운반,사토,깔기,다짐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견인식과 자주식으로 구분되며 견인식은 험한도로,연약지반, 급구배 등의 잡업장에 적합하며 자주식은 500m이상의 작업거리에 많이 사용된다.
◈. 굴착 기계
<백 호>
기계보다 낮은 곳을 굴착하여 기계보다 높은 곳의
운반장비에 적재하며 기초굴착과 좁은 구거굴착에 유효하다.
수중굴착작업에도 사용할 수 있다.
구동방식에 따라 무한궤도식과 타이어식으로 나뉜다.
<워셔블>
기계의 위치보다 높은 장소에서의 굴착에 유효하다.
조합 시공에서 굴착과 싣기에 많이 사용된다.
파워셔블의 크기는 버킷용량에 따라 구분된다.
<크 램 셸>
우물통 기초 등 좁은 곳과 깊은 곳을 굴착하는데 유리하다.
준설공사의 자갈,모래의 채취에 많이 사용한다.
<드레그 라인>
넓은 범위의 굴착에 적합하다.
기계보다 낮은곳 모두 사용가능하나 운반로보다 낮은장소에 합하고 하상굴착,배수로의 굴착,골재채취,연약지반굴착에 사용하나 굳은지반의 굴착에는 부적합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