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동국대에서 활용하지 않을 계획이라면 충분히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입니다. 인터넷이나 참고문헌을 충분히 조사하고 활용한 것이므로 많은 도움이 될듯 합니다.
목차
서론
Dior의 사례분석
Gucci의 사례 분석
Versace의 사례분석
Calvin Klein의 사례 분석
섹스어필 광고 전환의 이유
섹스어필 광고 전환의 성과
결론
본문내용
우리는 이른바 명품이라 불리며 현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소유의 대상을 넘어 ‘선망’의 대상으로까지 번지고 있는 패션 브랜드에서 중점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성적 광고를 주요 조사 타겟으로 잡았다. 이에 현재 성적 광고를 가장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크리스찬 디올, 구찌, 베르사체 등의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성적 광고로의 전환 이유와 이에 따른 성과를 분석해 보았다. 또한 케빈 클라인, 게스와 같이 일괄적으로 성적광고를 고수하고 있는 브랜드의 분석을 통해 유독 패션 브랜드에서 이처럼 성적 광고가 많이 활용되고 있는 이유도 유추해 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패션 브랜드 광고 역시 점차 성적 소구의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우리의 관점을 통해 이러한 광고들이 소비자들에게 미칠 영향과 앞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과 마케팅 전략 등에 대해서도 제시해 보았다.
참고 자료
광고, 그리고 문화, 크리스 모리스 / 커뮤니케이션 북스
상품 광고론, 이재수 / (주)학문사
www.advertising.co.kr
www.advertising.co.kr/uw-data/dispatcher/lit/fulltext/Serial/S0007011/09.html
www.jabo.co.kr/53th/53-mein2-3%281%29.htm / www.brandreport.com/column/column_view.asp?page=1&idx=309&sorting=CI
blog.naver.com/sill1787.do?Redirect=Log&logNo=60004285137
blog.naver.com/keepakeep.do?Redirect=Log&logNo=80009313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