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방자치의 본질
주민의 권리와 의무
주민감사청구와 주민 소송
옴부즈만 제도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입법권
본문내용
지방자치법의 본질
Ⅰ. 헌법에 의한 지방지치의 보장
헌법은 제 117조 및 118조에서 지방자치의 보장을 명시하고 있다. 이 규정에 의하면 지방지치단체의 자치권의 실정법상의 기초를 헌법자체에 두고 있으나, 지방자치의 본질에 관해서는 학설이 대립된다.
Ⅱ. 학설
1. 고유권설
고유권설은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은 국가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고유한 권리로 인간이 갖는 천부적 권리와 동일하다고 본다.
그러나 지자체는 국가 내에 존재하며 자치권과 인간의 권리가 동일한가에 대해 한계를 지닌다.
2. 전래설
(1) 승인설
승인설은 지자체의 자치권이 국가의 승인을 얻어 행사 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지방자치의 형해화가 유려 된다는 비판을 받는다.
3. 제도적 보장설 (통설 ‧ 판례 ‧ 현재의 태도)
(1) 의의
제도적 보장설은 헌법이 지방자치제도의 본질을 입법 등에 의한 침해로부터 보호한다는 견해이다. 그러나 소극적 입장을 취하게 되어 한계가 생긴다는 단점이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