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양과목이라면 거뜬히 만점 받으실 수 있을거예요
도서관에서 책들 찾아서 쓴 레폿입니다.인터넷은 참고하지 않았어요. ^^
전 만점 받았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고조선의 명칭
2) 단군신화
3) 고조선의 문화권
4) 고조선의 주민과 예맥
5) 고조선의 건국연대
6) 고조선의 위치와 강역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고조선은 우리 민족사의 첫 출발이라는 점에서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고조선의 출현시기, 강역, 주민구성, 정치-사회적 성격문제 등이 주요쟁점으로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는데 대체로 두 가지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첫째는 문헌을 연구하는 방법이 있는데 조선 후기의 실학자들에게서 맥을 찾을 수 있으며, 이를 계승한 민족주의 사학자들과 일제강점기의 일본인학자와 그들과 연관된 학자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 방법은 역사와 신화를 혼용한다든지, 역사적 측면의 인정을 소홀히 한 체 문헌만 참고한다는 점에서 비판이 생길 수 있으나 고조선에 관한 자료를 고증하고 비판했다는 점은 하나의 성과라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문헌의 이해와 더불어 고고학이나 인류학 등의 인접학문의 성과를 접목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해방이후 남북한 학계가 각각 연구전통을 이어받아 새롭게 축적된 고고학적 성과를 이용하면서 고조선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견해를 드러냈다. 이렇게 이 방법은, 문헌의 연구성과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새로운 해석을 내놓기 때문에 문헌의 처지에서는 견해차이가 생기기도 했고, 때문에 논란이 되기도 한 방법이다.
이렇게 각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고조선을 어떻게 파악하느냐에 따라서 이 시대의 성격과 역사의 흐름은 판이하게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고조선의 존재시기와 시대성격을 규정짓는 문제는 중요한 것일 수밖에 없다.
참고 자료
한국사신론, 이기백 저, 일조각
한국 고대사와 고고학. 김정배 저, 신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