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달의 위상
2. 인간과 동물
3. 광학적인 현상
4. 날씨의 변화에 대한 일기 속담
5. 바람과 관련된 일기 속담
본문내용
옛날 사람들은 하늘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기상 현상을 객관적으로, 과학적으로 알아낼 수 있는 측기가 없었으므로, 결국 눈이나 감각기관을 이용해서 그 날의 날씨를 파악하였다. 오랫동안 경험한 날씨의 상태를 토대로 내일의 날씨를 예측하는, 이른바 관청망기에 의해 날씨를 예측하였는데, 이 시기에 나온 것이 바로 기상현상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일기속담이다.1660년경에 갈릴레이가 온도계를 발명함에 따라 이 때부터 대기의 상태를 측기를 이용해서 알아내어 날씨를 예측하는 관측 시대가 시작되었다. 관측시대에는 기압계, 풍향·풍속계, 일사계, 습도계 등 대기의 상태를 관측하는 여러 가지 기상 측기가 발명되어 기상예보에 널리 이용되었다. 그러나 날씨의 상태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1743년 프랭클린이었다. 그는 그해 10월 21일 오후 9시에 달의 월식을 보려 했으나 강한 폭풍으로 인해 관측할 수 없었다. 며칠 후, 그는 월식 때에 다른 지역에서는 날씨가 맑았음을 알고, 계속 연구하여 폭풍이 북반구 중위도에서 북동쪽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