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고분자 LED의 발광원리
3. 고분자 전기 발광 소재 개발 현황
4. 청색 전기발광 고분자의 개발 동향
5. 재료와 소자의 추가적인 성능개선
6. 패터닝 방식에 따른 재료의 개량
본문내용
- 21세기에 들어와서 평판 디스플레이 (FPD)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
- 1970년대 이후, 액정의 응용연구가 급속히 진전
- 현재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FPD의 중심적 존재
- 1990년대 전반부부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의 혁신적인 진보에 힘입어 대화면화가 쉽고, 기존의 브라운관(CRT)보다 고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장시간 사용 가능한 전계 방사 디스플레이(PED)의 실용화
★ PDP는 슬림형, 대화면에 적합, 고화질화, 고정밀화, 저가화 등이 요구
★ PED는 응답속도가 빠르지만 저소비적력화, 희도와 신뢰성 등이 요구
- LCD을 대신하는 FPD로 가장 유력한 것이 유기 EL(electroluminescence)디스플레이
★ 유기 EL은 발광재료를 이용하는 유기 재료를 적적히 선택함으로서 가시광선영역(400∼ 800nm)을 모두 커버.
★ 유기 EL 소자의 동작원리는 반도체의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전류 주입형이고 원리에서 보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라 부르는 편이 어울린다.
- 발광재료에 이용되는 유기 물질은 보통 두 가지로 분류
▶색소분자라고 하는 저분자 와 공액 고분자 등의 전도성 고분자로 나눌 수 있다.
▶저분자재료에 의한 유기박막의 막제작은 진공증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고분자재료는 스핀코팅 등의 습식법이 이용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