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본론
1. 청소년 비행의 정의
2. 청소년 비행 원인 이론
3. 체육교육이 청소년 비행 예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4. 비행청소년을 위한 체육교사의 역할
Ⅲ.결론
본문내용
다. 비행 청소년 선도·예방은 체육이 ‘약’
몇 년전 보호관찰 성적이 좋은 청소년 중 환경이 어려운 60명을 선발하여 한 캠프를 법무부 보호국 서울보호관찰소 주최, 한림대학교 체육학과 주관한 적이 있었다. . 캠프 생활은 수상스키, 래프팅, 오리엔티어링 등 스포츠 활동 위주로 구성됐다.
또 고성에서 열린 아시아 태평양 잼버리대회에도 정심여자중학교(전 안양소년원) 10명의 학생이 참가해 색다른 체험을 했다. 잼버리 대회도 크게는 스포츠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보호관찰 청소년의 사회적응능력 촉진 프로그램으로 스포츠 교육이 시도된 것은 처음이라고 한다. 또 정심여중에 수용된 청소년이
참고 자료
참고문헌
청소년 체력향상을 위한 여가체육활동 활성화방안 문화관광부 1999
표갑수, [청소년 비행 원인 이론] 복지정책 연구소 l986.
이장현, [청소년 비행에 관한 이론적 배경] 한국 사회과학 연구소 l978.
김길수, [한국 소년범죄의 사회적 요인에 관한 조사 연구], l970.
김기두, [한국 소년범죄 연구] 박영사 l967.
이모교, [청소년 비행의 원인에 관한 연구], 강원대, 청소년 비행 연구소 l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