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워낙 꼼꼼하게 실험을 하고 내용과 양식에 충실하게 하느라 한학기동안 무지 고생한 보고서들 입니다.
분명 대만족 하실것입니다. 당연히 우리 팀원 모두 A+받았죠.
전 믿을 수 있는 자료만 취급합니다.
제 자료를 받은 분의 A+을 기원합니다.
목차
■ 실험_manual
■ 1번 실험 보고서
Ⅰ 서론
Ⅱ 실험방법
1) 피실험자
2) 실험기기
3) 실험계획 및 절차
4) 실험 시 유의사항
Ⅲ 결과
1) 표준작업자 설정
2) 개선 전,후의 평균시간 비교
3) 개선전,후 SIMO차트
4) 필요관측 회수 산정
5) 추가관측 결과
Ⅳ 결론 및 토의
■ 2 실험 보고서
Ⅰ 서론
Ⅱ 실험방법
2.1 피실험자
2.2 실험기기
2.3 실험계획 및 절차
2.3.1 실험계획
2.3.2 실험절차
2.4 실험 시 유의사항
Ⅲ 실험 결과
3.1 WF에 의한 표준시간
3.2 MTM에 의한 표준시간
3.3 MODAPTS에 의한 표준시간
Ⅳ 결론 및 토의
4.1 결론
4.2 토의
참고문헌
■ 3 실험 보고서
Ⅰ 서론
Ⅱ 실험방법
2.1 피실험자
2.2 실험기기
2.3 실험계획 및 절차
2.3.1 실험계획
2.3.2 실험절차
2.4 실험 시 유의사항
Ⅲ 실험 결과
3.1 WF에 의한 표준시간
3.2 MTM에 의한 표준시간
3.3 MODAPTS에 의한 표준시간
Ⅳ 결론 및 토의
4.1 결론
4.2 토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Lab. #1 Bolting/Pin Board Experiment
(Stop Watch Study)
I. 목적
1. 작업공정도(Operation Chart), 작업자공정도(operator process chart), SIMO chart 등을 이용하여 Bolting/Pin board 작업을 분석한다.
2. Motion Economy 원칙을 이용하여 Bolting/Pin board 작업의 개선 방향을
찾는다.
3. 본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수작업의 분석방법과 개선방향을 익힌다.
4. 시간측정을 위하여 bolting/Pin board 작업을 요소작업으로 분할한다.
5. bolting/Pin board 작업에 대한 시간을 측정하고, 필요 관측 회수를 결정한다.
II. 실험방법
III. 결 과
1. 작업자간 비교를 통한 normal operator 선정 결과
3. 요소작업 분할
4. 개선 전후의 bolting/Pin board 작업에 대한 SIMO chart 및 개선 idea
4. 필요관측 회수 산정 과정
5. 각 요소작업별 시간 측정 결과
Lab. # 2 Performance Rating
I. 목적
1. Time study form 작성법을 익힌다.
2. 개인적인 Performance rating 경향을 파악한다.
3. 조원 중 2명을 다음 실험의 Best Rater로 선정한다.
4. Bolting/Pin board task에 대하여 best rater가 rating을 수행하여, Bolting/Pin board task에 대한 표준시간을 구한다.
II. 실험방법
III. 결 과
1. 작성된 Performance rating form
2. Rater간 비교 후 Best rater 선정
3. Rating 경향
4. Bolting/Pin board task에 대한 표준시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