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산화제란?
2. 항산화제의 종류
3. 항산화제의 생리적 기능
4. 항산화제의 역할과 생리적 기능 요약
5. HDL의 콜레스테롤 반응 감소시키는 항산화제
6. 항산화제의 임상적 의의
7. 항산화제의 해독성
8. 식품 함유 항산화제의 뇌 보호 효능
9. 비타민C-E 등 항산화제, 노화예방 효과 입증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항산화제란?
유기화합물이 대기 중에 있는 산소와 지속적으로 반응하여 바람직하지 않는 변화를 일으켜 그 물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은 자연에서 일어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화학반응 중 하나이다. 식품이나 유기물에서 산소와의 결합은 자동산화(autoxidation)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연소과정과는 다르게 반응속도가 매우 느리고 에너지 방출량도 거의 감지할 수 없으며 빛의 발산도 없다. 자동 산화는 반응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반응과정 중 중간 생성물이 잘 알려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반응의 기작이 잘 밝혀짐과 동시에 산화 과정을 지연, 혹은 억제시킬 수 있는 방법도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산화 반응은 금속류의 산화와 같이 무기물에서도 일어나는데 그 반응 기작은 단순하게 설명될 수 있으나 유기화합물에서의 자동산화는 상당히 복잡하면서 그 예도 대단히 많다.
자동 산화를 포함한 산화과정은 기본적으로 화학 반응의 일종이므로 이의 반응을 지연 혹은 억제시키는 방법은 일반적인 화학반응의 억제 수단이 동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의 강하로 반응속도을 낮추고 산화 촉진 효과가 있는 각종 광선, 특히 자외선의 차단을 들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산화가 잘 일어날 수 있는 경우 광차단 포장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산화반응에 관여하는 구리, 철과 같은 금속을 봉쇄하거나 더 적극적으로 산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부터 산소를 제거하는 방법이 동원될 수 있으며 진공, 혹은 밀폐, 나아가서는 산소 흡착제 등 여러 수단을 도입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