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노사관계의 정의
던 롭(J.T.Dunlop)교수의 노사관계시스템의 모형
2. 노사관계의 주체자
3. 노동시장을 둘러싼 환경변화
외국 노사관계 시스템
Ⅰ.한국 노사관계의 발전 및 그 성격 변천
Ⅱ.우리나라 노사 관계의 특성
Ⅲ.우리나라 노사 관계의 문제점
Ⅳ. 사례 - 현대자동차
Ⅴ. 해결방안
본문내용
1.노사관계의 정의
1)노사관계의 중요성
⇒노사관계가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
① 화물연대 부산지부의 파업 장기화로 인한 경제적 손실
-화물연대 파업 수출차질 3억5000만 달러
-화물연대 파업 이후 하루평균 수출액의 36.6%감소
-파업기간 부산항과 광양항의 일 평균 수출액 감소
② 1987년 6.29 선언 이후 증가한 노사분규에 따른 경제 손실 현황 표
2)노사관계의 본질
▶근로자와 사용자(경영자)의 관계
▶일반적 노사관계
▶현대적 의미의 노사관계
노사관계의 주체자에 정부가 포함
19기말 종래 노사관계에서 보지 못했던 새로운 문제 등장
▶노사문제에 국가권력의 개입 시작
▶노동조합 세력의 증대
☞ 정부는 노사관계 그 자체에 대한 공동정책의 담당자로서 등장
참고 자료
-CEO information(제88호)삼성경제연구소 사회시스템실 백필규 수석연구원,고현절 연구원
-“노사관계론”1999,청목출판사,이상수,나윤기,김문중 공저
-www.nozo.net
-매일경제 2003년5월16일자(화물파업사태의 경제적손실)
-이영희,『한국의 노사관계와 노동운동』, 영학출판사,1989
-박준식, "노사관계 개혁의 과제와 전망", 한림대학교, 1996 -박세일, "신패러다임과 신노사관계", 『경제정의』, 1994 봄호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한국노동연구소 http://www.kiwlr.org/ 중앙일보 http://www.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