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연구목적
2.설계유형
3.연구방법
4.불안 -등간측정
5.우울-등간측정
6.영적간호중재
7.자료수집 방법
8.자료분석 방법
9.연구 결과
10.논의
11.결론 및 제언
12.
본문내용
연구 결과
1.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성별: 남자가 많았음
평균 연령: 실험군(59.6세), 대조군(55.9세)
고졸 교육: “ (32.4%), “ (33.3%)
월 수입
실험군에 100만원 미만-45.9%로 가장 많았음
대조군에 100만원~150만원 미만이 63.3%로 가장 많았음
종교-명목측정
신앙의 중요성-서열 측정
유의하지 않았다.
종속변수 사전점수의 동질성
실험군과 대조군의 상태불안
유의하지 않았다.(t=0.579, p>0.05)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
유의하지 않았다.(t=-0.022, p>0.05)
1)불안 -등간측정
상태-기질 불안도구를 사용
상태불안 측정도구는 20문항으로 구성
4점 척도의 평정법을 이용
최저 20점에서 최고 8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이 심한 것을 의미
Likert척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