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노조에 대한 근로자 태도의 결정변수
◈ 노동조합에 대한 근로자 태도
◉ 한국 노동조합의 체계와 노사관계
1. 한국노동조합의 체계
2. 민주적 노사관계의 정립방안
3. 21세기 노사문화와 노사관계
▣ 내가 생각하는 노사관계
본문내용
◈ 노조에 대한 근로자 태도의 결정변수
1) 개인특성 변수
①인구통계적 변수
-파버와 삭스(H. S. FARBER & D. H. SHKS) : 흑인과 젊은 층이 노조결성을 더 지지
-영블러드(S. A. Youngblood) : 인종, 성별, 선임권, 수입, 직업 등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이 노조결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제시
-프레맥과 헌터(S. L. Premack and J. E. Hunter) : 정별, 인종 등의 개인특성이 고용조 건에 대한 만족과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제시
②소외의식
-일반소외 : 사회일반에 대한 인간의 소외감정 및 의향으로서 포괄적인 개념
-노동소외 : 노동일반에 대한 인간의 소외감정 및 의향으로서 직무소외와 불가분의 관계
-직무소외 : 현 직무에 대한 종업원의 소외감정 및 의향으로서 가장 협소한 개념
- 무력감(powerlessness) : 개인이 경영정책이나 규율, 작업조건, 주어진 작업절 차를 관리할 능력이 없다고 느끼는 것
- 무의미(meaninglessness) : 종업원이 계속 근로를 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산출로부터 성취감이나 의미성을 찾지 못하는 상태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