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지사의 사회복지학개론을 처음부터 끝까지 요약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1부 사회복지에 대한 일반적 이해
제1장 사회복지의 개념
제2장 사회복지의 역사와 발달과정
제3장 사회복지의 이론
제4장 사회사업실천
제5장 사회복지행정
제2부 사회복지의 실천분야
제6장 사회보험
제7장 공공부조
제8장 아동복지
제9장 청소년복지
제10장 노인복지
제11장 장애인복지
제12장 여성복지
제13장 가족복지
제14장 산업복지
제15장 의료사회사업
제16장 정신보건사회사업
제17장 학교사회사업
제18장 교회사회사업
제19장 교정복지
제20장 자원봉사
제3부 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
제21장 사회복지의 건망과 과제
본문내용
제1부 사회복지에 대한 일반적 이해
제1장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의 개념은 매우 포괄적이며 광범위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객관성을 지닌 일반화된 개념 정립을 하는 일은 어려운 과제이다. 본 장에서는 개념정립의 준거로 대상범주의 관점, 제도범주의 관점, 이념범주의 관점,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이해, 사회복지의 유사관련 체계의 맥락에서 접근하려고 한다.
1. 대상범주의 관점
1) 한정적 개념으로서의 사회복지
사회복지의 대상을 제한된 사회적 약자계층이나 요보호대상자들로 한정지어 실천하는 소극적이고 한정된 협의의 개념이다.
2) 광의적 개념으로서의 사회복지
광의의 사회복지 개념은 사회복지 대상으로 사회성원 전체의 복지를 정부나 사회가 책임을 지는 것이다.
3) 복합적 개념으로서의 사회복지
사회복지에 대한 복합적 개념은 한정적‥광의적 개념이나, 잔여적‥제도적 개념을 한 연속선상에서 이해하여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복합적 개념을 주장한 Romanyshyn(1971)의 정의에 의하면 사회복지의 개념은 적극적 의미와 한정적인 의미를 함께 내포하고 있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학 개론
학지사 자료 요약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