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회의론에 대한 철학적 탐색
2. 합리론에 대한 철학적 탐색
3. 탐색을 마치고
본문내용
고대에서 중세로 넘어가는 시기의 아우구스티누스가 데카르트와 같은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명제를 신의 철학을 세우기 위해 제 1원리로 먼저 찾아냈다는 점은 아이러니다. 하나의 명제를 두고 서로 다른 가치관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는 놀라운 사실을 알고 또 스피노자의 탈근대적 사상을 통해 철학은 문제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그 방향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음을 깨달았다. 인식의 가능성에 근거해 체계를 세운 인식론, 인식의 절대성에 반대하는 회의론 이 두 가지 다른 주장 속에서 하나가 다른 입장을 극복하는 이론적 체계를 잡아나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식론이 회의론을 넘어 지식의 가능성을 보여주려는 방어작업이라면 회의론은 인식의 독단을 경계하는 공격작업이라 볼 수 있다. 회의론이 모든 인식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절대성을 부정하는 것이란 생각을 다시 할 수 있었다. 또한 회의론이 알게 모르게 시대적 전환의 자리마다 어떤 역할을 해주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었다. 중세로 넘어가기 위해 아우구스티누스가 회의론을 극복하는 위의 명제를 내놓은 것이나 근대로 전환해 가는 시기에 데카르트가 당시 팽배한 회의주의적 경향을 극복하기 위해 의심할 수 없는 진리에 도달하려는 방법적 회의를 통해 얻은 주체의 발견은 이번 탐색을 통해 알게 된 것이다.
참고 자료
김영건, 「회의론과 확실성」「고르기아스의 회의론과 언어의 이해」아고라 웹진, 2001
사무엘 E. 스텀프 지음. 이광래 역 『서양철학사』종로서적출판주식회사, 1994.
서양근대철학회 『서양근대철학』창작과비평. 2001
이진경, 『철학과 굴뚝 청소부』새길, 2001
D.W.Hamlyn, 이병욱 역, 『인식론』, 서광사, 1986.
Popkin, Richard and Avrum Stroll. Skeptical Philosophy for Everyone (Prometheus, 2001). 번역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