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동기유발 이론에 대해서 상세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목차
1. Motivation Theory의 흐름
2. Constructs of Motivation
3. Three mainstreams of Motivation Approaches
: Need-Motive-Value Approaches
: Cognitive Choice Approaches
: Self-regulation-Metacognition Approaches
4. Integrative Approaches
5.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본문내용
1. Motivation Theory의 흐름
1930~1940
Motivation이 학습이론의 독보적 위치를 확보
자극, 동기의 기능으로써 학습에 대한 연구 활발
1950~1960
Information process의 부각으로 고전적 동기유발이론은 활기를 잃음
학습과 성과에서 인지적 구조의 영향을 이해하는 것에 초점
=> cognitive choice approach
1980~
다양한 동기유발이론의 접합을 시도
개인의 목표를 중시
기존이론과 cognition, information process 통합을 시도
=> self-regulation-metacognitive approach
최근에는
기존에 무시되어왔던 인간의 성향, 의지를 고려한 연구
2. Constructs of Motivation
동기부여의 개념정의에 고려되어야 할 요소
-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소, 독립변수를 명확히 한다.
- 관측 가능한 행동에 있어서 잠재적인 변수들과 그 상관관계의 함의를 기술한다.
- 동기유발의 결과, 종속변수, 동기유발 시스템의 변화에 영향 받는 주요 행동을 명확히 한다
2) 동기유발의 결과 : 종속변수
- direction of behavior : What a person does?
- intensity of action : How hard a person works?
- persistence of direction-specific behaviors : How long a person works?
3) 행동과 성과의 구분
- 복잡하고 어려운 과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동기부여의 효과를 예측하거나 설명하기 위하여
행동과 성과의 구분이 필요해짐
- 이유 : 동기유발의 과정, 인지능력,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