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Ⅱ. 일반적 정보
1. 일반적 정보
2. 임신과 관련된 정보
3.신체 검진
4.산과검진
5. 제왕절개 분만 기록
6. 분만과 관련된 정보
7. 진단검사
8. 약물
9. 수술 후 간호
10. 간호과정
#1. 수술 및 입원과 관련된 피로
#2. 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통증
#3. 통증과 관련된 기동성 장애
11. 결론 및 느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임신자궁을 절개하여 인공적으로 성숙태아를 만출하는 수술로 제왕절개는 경질분만(經膣分娩)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곤란하고 위험할 때에 실시한다. 적응증은 고도의 협골반(狹骨盤), 아두골반부적합 ·전치태반(前置胎盤) ·골반위(骨盤位:특히 고령자 초산인 경우), 자궁이나 질의 기형 또는 모아(母兒) 어느 쪽에 위험이 닥쳐 빨리 분만을 끝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등이다. 제왕절개라는 명칭은 독일어인 카이저슈니트(Kaiserschnitt)의 직역이며, 어원은 라틴어인 섹티오 카이사레아(sectio caesarea)에서 유래하는데, 이 독일어의 번역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가 복벽절개에 의해 태어났다는 데에서 유래한다는 설과, 벤다는 것(caesarea), 즉 임신자궁을 절개한다는 뜻에서 온 중복어(重複語)라는 두 가지설이 있다.
2. 종류
1) 고전적 제왕절개수술 : 자궁체로부터 자궁저(子宮底)에 걸쳐 자궁벽을 정중선상으로 절개하는 방법 으로서 다른 방법에 비해 시간이 덜 걸리나, 수술 후에 유착(癒着)·누공 형성 등이 많아서 현재는 그다지 쓰이지 않고 있다.
2) 경부 제왕절개수술(頸部帝王切開手術) : 자궁경 또는 자궁체 하부를 가로로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 하는 방법이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으며, 수술 중 ·수술 후의 합병증이 적다.
3) 복막외(腹膜外) 제왕절개수술 : 복막을 열지 않고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방법이다. 복막을 그냥 두기 때문에 감염이나 수술 후의 장관유착 등의 위험성은 적으나 시술이 다소 까다롭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