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근대 이전의 변천
(1) 원시사회의 경제
(2) 공납제사회의 경제
(3)고대 노예제사회의 경제
(4) 중세 봉건제사회의 경제
(5) 자본제로의 이행
(6) 중상주의(merchantilism)
(7) 중농주의(physiocracy)
2. 주류 경제학의 변천
(1) 고전학파(classic school)-시대적 배경과 내용, 주요 학자(A.스미스, T.R맬서스, D.리카도, J.S.밀)
(2) 케인즈 학파(Keynesian school)-시대적 배경과 내용, 주요 학자(J.M.케인즈, J.V.로빈슨)
(3) 신고전학파(neo-classical school)-시대적 배경과 내용, 주요 학자(A.마샬, A.C.피구)
3. 비주류 경제학의 변천
(1) 역사학파(historische Schule)-시대적 배경과 내용, 주요 학자(F.리스트, M.베버)
(2) 마르크스 경제학파-시대적 배경과 내용, 주요 학자(K.마르크스, 레닌)
(3) 제도학파(institutional school)-시대적 배경과 내용, 주요 학자(T.베블런, J.코먼스, W.밋첼)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의 경제활동에 기초를 둔 사회적 질서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경제학의 정의는 경제학의 계보에 따라 달리할 수 있겠지만,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이 항상 제한되어 있다는 사실(자원의 희소성)에 직면하여, 그 제한된 수단을 가장 유효하게 활용하고자 선택을 하는 과정에서 인적 및 물적 자원이 어떻게 배분되고 소득이 어떻게 처리되는가를 관찰함으로써 이들에 관한 일반적인 법칙을 구명하며, 그 자원의 배분 과정에서 야기되는 경제적·사회적 문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자 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학에는 경제현상의 연구목적과 방법에 따라 실증경제학...
참고 자료
주명건,『경제사상사』(1984)
주명건,『경제학사-경제혁명의 구조적 분석』(1998)
윤석범,『경제사상의 흐름:그 시대,그 사람,그 학설』(1998)
서기원,『경제학설사』(2000)
박장환,『경제사상사의 이해-명저해제를 통하여-』(2000)
최영순,『경제사 오딧세이』(2002)
브리테니커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