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국제금융경제의 기초
제1장 개방경제와 국민경제
1. 국제금융경제학
2. 세계경제의 연계
3. 자본과 재화의 국제적 흐름
(i) 폐쇄경제
(ii) 개방경제
4. 국제수지표
제2부 국제수지와 개방경제이론
제4장 환율, 국민소득과 경상수지
*국제수지접근법
1. 국제수지에 대한 탄력성접근 (elasticity approach)
※명목환율
※교역조건(terms of trade)
실질환율
교역조건
o 환율의 전가율
2. 국제수지에 대한 국내총지출접근 (absorption approach)
o 국내외의 경제충격과 환율제도
o 대내균형과 대외균형
o 대내외 균형
o 지출조정정책(expenditure-changing policy), 지출전환정책(expenditure-switching policy)
3. 국제수지의 통화주의모형
※ 비중화정책(non-sterilization)
o 국제수지에 대한 monetary approach
o Monetary approach 가정 내지 특징
본문내용
o 국제수지에 대한 monetary approach
; 지금까지는 CA 불균형이 통화량에 미치는 영향과 다시 통화량 변동이 CA에 미치는 영향을 보지 않았음. 즉 CA 변동이 통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히 중화(sterilization)시킬 수 있다고 가정한 것임.
; ex, A↑ → Y↑ → CA↓: 이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CA↓은 비중화(non-sterilization)될 때 통화량의 감소를 초래. => 국제수지와 통화량과의 관계와 상호반응과정을 분석하려는 장기 일반균형분석이 국제수지의 monetary approach임.
; ‘The BOP is a monetary phenomenon'
budget constraint:
(경상수지) (자본수지)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