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내용
2. 저자
3. 출처
4. 저작연대
5. 대상독자
6. 목적
7. 원문
8. 정경으로 채택
9. 마태복음에 대한 최근의 연구
10. 마태복음의 기여
본문내용
1. 내용
마태복음의 내용에서 전반적인 본서의 구조에 대해 세 가지 유력한 학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 마가복음과 관련된 지리적 구조를 발견해 낸다. 마태복음은 마가복음과 같은 서론을 이룬다. 그리고 지리적으로 예수님의 사역에 관한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예수님의 사역을 연대순으로 폭넓게 반영하고 지리적인 구분도 잘 유지하고 있다.
2) 스톤하우스, 로마이어, 크렌츠의 제안을 따라서 킹스베리는 기독론적 전개와 깊은 관련이 있는 중요한 세 단원으로 되어있음을 주장했다. '메시아이신 예수님의 존재'와, '메시아이신 예수님의 선포', '메시아이신 예수님의 고난과 죽으심과 부활'이라고 칭하면서 두 단원이 끊어질 때 곧바로 결정적인 단어 "그 때부터"를 사용하여 구상의 발단을 알려주었고, 세 단원중 마지막 두 단원에는 각각 세 요절이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3) 마태가 구체적인 문맥에서 시작하여 다른 곳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공식("예수께서 이 말씀을 마치시매...")으로 끝나는 다섯가지설교를 소개하고 있다. 제 1권은 제자직을 다루고 제 2권은 사도직, 제 3권은 계시의 감추임, 제 4권은 교회 행정, 제 5권은 심판을 다룬다고 보았다. 베이컨은 마태가 모세오경에 대한 답과 완성을 의식하고 있었다고 믿고 있다.
문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 다섯 설교는 너무 확실하게 구분되어져 있어 마태가 그것을 의도적으로 구상한 것이 된다. 이러한 문학적인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마태의 구상의 발달을 덧붙여 생각해 볼 때 다음의 일곱 부분에 도달하게 된다.
(1) 서론(1:1-2:23)
예수님의 족보(1:1-17), 예수님의 탄생(1:18-25), 동방박사들의 방문(2:1-12), 애굽으로 도피(2:13-15), 베들레헴에서의 대학살(2:16-18), 나사렛으로의 귀환(2:19-23) 등 여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예언성취의 형태로 소개되고 있음)
(2) 천국복음(3:1-7:29)
세례요한의 사역(3:1-12), 예수님의 세례(3:13-17), 예수님의 시험(4:1-11)이 세부분의 기초단계와 갈릴리에서의 초기사역(4:12-25)과, 산상수훈(5:1-7:29)의 설교부분에서 배경설명(5:1-2), 천국의 기준(5:3-12)과, 증인됨(5:13-16)을 통해 천국을 소개하고 설교의 본문(5:17-7:12)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론은 서론적 설명(5:17-20), 주제(5:17-48), 유대인들의 전통적인 경건의 연습들, 즉 구제(6:2-4), 기도(6:5-15), 금식(6:16-18), 추잡한 위선을 경고하는 온전함의 요구(5:48), 천국의 가치에 대한 확고부동한 충성(6:19-24), 하나님께 대한 타협 할 줄 모르는 신앙(6:25-34), 구약의 기대 완성(7:1-12), 그리고 독자 자신이 선택해야 할 두 길(7:13-14), 두 나무(7:15-20), 두 청구(7:21-23), 두 건축자(7:24-27), 끝맺음(7:28-29)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