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표준화된 산후관리교육이 초산모의 자가관리지식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목차
서 론
1.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용어의 정의
연구방법
1. 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및 자료수집 방법
4. 자료분석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교육 전후의 산후관리지식과 자기효능감
3. 교육 전후의 문항별 산후관리지식과 자기 효능감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산후관리 지식정도와 자기 효능감
논 의
결론 및 제언
1. 결 론
2. 제 언
본문내용
1.연구의 필요성
산욕기 – 정상적인 발달과업 중 중요한 과정
많은 변화 초래
• 현대사회의 가족구조 :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의 변화
-> 역할 모델의 부재로 인한 산욕기 자가 간호의 무지
• 2-3일간의 병원 입원기간동안 치료중심의 돌봄이 행해짐
-> 구체적인 산욕기관리는 퇴원 후 가정에서 이루어짐
-> 산욕기 자가간호를 위한 교육이 입원기간 중 요구됨
2. 연구 목적
1) 대상자의 산후관리교육 전후의 산후관리지식 정도
를 파악한다.
2) 대상자의 산후관리교육 전후의 자기 효능감 정도를
파악한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산후관리 지식
정도와 자기 효능감 정도를 파악한다.
3. 용어의 정의
1) 산후 자가관리지식
- 산욕기에 산모의 건강과 안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자가관
리 활동에 대한 정보
2) 산후관리에 대한 자기 효능감
-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활동에 대한 자신을 갖거나 잘 할
수 있다고 스스로 믿는 감정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