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율무의 유래
율무는 볏과에 딸린 1년생 식물이다. 원산지는 중국 또는 인도 차이나 반도라 전해오며 우리나라엔 약용식물로 들여와 북부지방을 제외한 전국 각지의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일본 문헌에 보면 임진왜란 때 가등청정이 우리나라로부터 율무를 도입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임진왜란 훨씬 이전부터 한약재와 구황작물로서 재배되어 왔으리라 짐작된다.
2)율무의 특징
율무의 잎은 어긋달리고 피침형으로 길쭉하며 길이가 30 ~ 50㎝, 너비가 2 ~ 4㎝ 가량의 넓은 끈 모양인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져서 뾰족하다. 가장자리는 꺼칠거칠하고 수수나 옥수수잎을 축소시킨 모양을 하고 있다. 8 ~ 9월경에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의 꽃대가 나와 눈에 잘 띄지 않는 암꽃과 수꽃이 각각 핀다. 꽃을 피운다. 열매는 길이가 3㎜정도의 녹색 알맹이인데 익으면 흑갈색으로 변하고 광택이 난다. 크기는 보리의 2배 정도이다. 줄기는 거칠고 원추형으로 곧게 서며 마디가 있고, 높이는 1.5m 가량 된다. 한 포기에서 새끼를 치고 줄기에서 다시 가지를 내어 번진다.
참고 자료
*참고자료
- www.encyber.com
- www.jayun.co.kr
- www.nongup.kyonggi.kr
- www.nais.or.kr
* 참고문헌
-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 종자/안완식/1999/사계절/P.210 ~ 213
- 생약초/정필근/1993/홍신문화사/P.69, P.210 ~ 211
- 약초재배/유수열/1995/오성출판사/P.269 ~ 274
- 약초이용과 재배/최영전/1994/오성출판사/P.345 ~ 348
- 韓藥資源植物學/1996/학문출판/P.372 ~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