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실험방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실험이론
1) 흡수의 원리
흡수는 기상중에 있는 피흡수성분의 분자를 액상 중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순전히 물리적으로 용해하는 경우와 화학반응에 기인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여기서는 물리적 용해의 경우만 생각한다.
① 용해도
기체와 액체를 일정조건하에서 오랫동안 접촉시키면 평형에 도달한다. 이 때의 기상과 액상의 평형농도의 데이터가 필요함은 말할 것도 없다. 이 평형관계를 기체의 용해도로서 취급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c=액중의 농도(kg mol/㎥)
p=기체의 분압(atm 또는 mmHg)
이 관계는 기체 및 액체의 종류, 온도에 따라 변화하나, 접촉면적이나 교반방식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기체의 용해도를 구체적으로 표시하는 데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만일 p와 c를 방안지 상에 점철했을 때, 원점을 통과하는 직선이 얻어진 경우 식은
와 같이 되고, Henry법칙에 따르는 경우이다. Henry법칙은 액의 농도가 적을 때만 성립하므로, 난용성기체라든가 또는 상온에서 용해하기 쉬운 기체라도 온도가 높을 때는 잘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가 높아지면 감소하므로, 다량의 기체를 흡수시키려고 할 때는 저온에서 조작하지 않으면 안 된다.
참고 자료
화학공학개론, 안동주 편, 문운당, 1969
단위조작, 이승무 저, 형설출판사, 1972
단위조작 Mccabe. Smith. Harriott 길중당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