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소설의 재료로서 전근대 국어의 특성
2. 고소설의 언어 문면에서 나타나는 특성
3. 고소설이 사태를 구성하는 데서 나타나는 특성
본문내용
1. 고소설의 재료로서 전근대 국어의 특성
오늘날 우리가 눈으로 읽을 수 있는 한글 고소설 자료는 한글이 어렵게나마 문명의 줄기를 차지하게 된 오늘날의 한글 산문, 특히 현대소설과 비교해 볼 때 훨신 입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을 것이라고 짐작가능하다. 이는 오늘날 남아 있는 고소설 자료를 대충 확인해 보아도 알 수 있는 것이다. 고소설 언어 자료의 겉모습에서 눈에 띄는 구술성의 표지들을 보자.
※ 특징: 표음주의에 의해 쓰여져 있어 읽기에 부적합하다.
☺ 맞춰봅시다!(동전으로 긁으면 답이 보입니다.)
고듸-> ____________, 갓 ->_____________, 드러 ->______________, 다엇고 ->______________
Q. 제시된 문구는 한 문장이다. 총 21개의 절로 길게 이룩되어져 있고, 분철로 쓰이고 있지도 않고 소리나는 대로 쓰여지고 있다. 그 이유를 생각해 봅시다.
( 당대에는 눈으로만 소설을 읽는 사람이 별로 없어서 8종성법을 그대로 지켜도 별로 어려움을 못 느꼈기에 쓰고 읽기보다 말하고 듣기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에서 비롯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