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사무가
2. 성주풀이
3. 기본줄거리
4. 제비원과 성주풀이
본문내용
무조(巫祖)에 얽힌 신화로서‘본풀이’라고도 한다. 무속신의 이야기로, 무속의식에서 구연(口演)되므로 무속신화이며, 반주에 맞추어 노래식으로 사연을 이야기한다는 점에서 구비(口碑) 서사시이다.
영고(迎鼓)나 동맹(東盟)·무천(舞天) 등 고대의 제천의식이나 단군제(檀君祭)·동명제
(東明祭)·혁거세제 등 국조제(國祖祭)는 고대의 무속제전인데, 이러한 제전에서 형성된 신
화가 바로 서사무가이다.
서사무가의 신화적 기능은 다산과 풍요를 관장하는 생산신으로서의 기능과 수호신으로서
의 기능이라는 점에서 서사무가는 국조신화와 같은 근원에서 형성된 무속신화이다. 오늘날
전국 곳곳에서 전승되는 서사무가에는 함남의 창세가·대감굿·셍굿·살풀이·안택굿, 평북
의 일월노리푸념·성인노리푸념, 평남의 성신굿·삼태자풀이, 서울·경기의 바리공주·제석
본풀이, 강원도의 시준굿·손님굿·바리데기, 충북의 제석본풀이, 충남·전북의 제석굿·칠
성풀이, 전남의 제석굿·바리데기, 경북·경남의 시준굿·심청굿·바리데기·손님굿, 제주
도의 천지왕본풀이·초공본풀이~삼경본풀이·세경본풀이·칠성본풀이 등이다.
서사무가는 오랜 세월에 걸쳐 전승되면서 고대소설과 판소리에 영향을 주었다. 지금까지
채록된 서사무가는 수백종에 달하며, 제주도의 당본풀이를 제외하면 수십여 종에 이른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