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불안에 대한 이론
1. 정의
2. 심리적 이론
3. 생물학적 이론
4. 병적 불안과 진단분류
Ⅱ. 공황장애와 광장공포증
1. 개념
2. 역학
3. 원인
4. 임상양상
5. 진단
6. 경과 및 예후
7. 치료
Ⅲ. 공포증
1. 개념
2. 역학
3. 원인
4. 임상양상
5. 진단
6. 경과 및 예후
7. 치료
Ⅳ. 강박장애
1. 개념
2. 역학
3. 원인
4. 임상양상
5. 진단
6. 경과 및 예후
7. 치료
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1. 개념
2. 역학
3. 원인
4. 임상양상
5. 진단
6. 경과 및 예후
7. 치료
8. 급성 스트레스장애
Ⅵ. 범불안장애
1. 개념
2. 역학
3. 원인
4. 임상양상
5. 진단
6. 경과 및 예후
7. 치료
본문내용
Ⅰ. 불안에 대한 이론
1. 정의
불안이란 광범위하게 매우 불쾌한, 그리고 막연히 불안한 느낌으로 생체가 친숙하지 않은 환경에 적응하고자 할 때 나타나는 가장 기본적인 반응양상이다. 병적 불안은 신경증적 장애(강박증, 공포증), 각종 정신병적 장애, 인격장애 또는 기질의 신체질환이 있을 때 나타난다.
2. 심리적 이론
정신분석 이론에 의하면 불안은 임박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계신호이다. 그 위험이란 용납할 수 없는 그러나 그 내용을 알 수 없는 막연한 무의식적, 내적, 갈등적인 위협이다. 즉 심리적 평형상태를 위협하는 생각이나 충동에 대한 위험신호인 것이다. 반면 공포(fear)는 의식된 외부의 비 갈등적인 위협에 대한 반응이다. 자아가 건강하여 방어기제가 이 무의식적 생각이나 충동을 충분히 억압하면 불안은 사라진다. 자아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불균형이 계속되고 만성불안이 나타난다. 또는 여러 방어기제에 따라 불안이 다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즉 강박증, 신체화장애, 해리장애, 인격장애, 정신신체장애, 성기능장애, 우울증, 정신분열증 등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모든 정신질환들이 불안과 관계있다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