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반도체 특성
2. 반도체 원리
3. 반도체 이용 원소
4. 반도체 이용분야
5.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현황(최근)
하이닉스반도체, 0.10미크론급 512메가 DDR 개발
한국디엔에스, 웨이퍼용 감광액 코팅장비 개발
"올 반도체 시장 1% 성장 그칠듯"
3분기 우리나라 D램 시장점유율 49% 육박, 4분기중에 50% 돌파 기대
올 반도체 수출실적 170억 달러 달할듯
아남반도체, 차세대 임베디드 비휘발성 메모리 생산
본문내용
1. 반도체 특성
일반적으로 실온(室溫)에서 10-3~1010[Ω ·cm] 정도의 비저항을 가지나 반도체의 비저항 범위가 엄격하게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며, 본질적으로는 전기전도현상의 물리적 기구(機構)에 그 특색이 있다.
대부분은 결정체(結晶體)를 이루고 있으나 비정질(非晶質:amorphous)의 것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절연체로 알려져 있는 것의 대다수가 약간씩이나마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는 절연체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비저항의 크기는 물질의 종류가 같더라도 외부 조건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한다. 또한 그 물질의 결정격자의 결함 ·순도 ·제조 및 가공방법이 다르면 반도체나 절연체에서는 비저항이 심하게 변하지만 도체에서는 그 변화가 별로 크지 않다.
도체의 경우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저항이 크게 되지만 반도체나 절연체의 경우는 도리어 감소되며, 그 변화율도 도체의 경우보다는 훨씬 크다. 반도체나 절연체의 경우는 외부로부터의 빛이나 열 등의 자극이 가해질 경우 비저항이 크게 변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비저항의 변화율이 반도체의 경우는 특히 커서 이 특성이 여러 분야에서 이용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