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고 장애
1. 사고장애를 정의
2. 사고장애의 정신역동을 이해
3. 사고형태의 장애를 설명
4. 사고진행의 장애를 설명(Disorders in progression of thought)
5. 사고 내용의 장애를 설명
본문내용
1. 사고장애를 정의
1)사고란?
: 어떤 자극이 있을 때 모든 정신기능 즉, 정동 , 지각, 상상, 기억능력을 총 동원하여 그 자극을 해석, 판단하고 통합하여 이를 기초로 다른 새로운 개념을 유추해내는 기능이다.
2)정상적 사고
: 외부의 자극을 정확히 지각하고 인지하는 능력이 필요하고 자신의 무의식이나 감정에 의해 나타나는 상상이나 환상과 사실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사고는 강렬한 정동과 무의식의 자극에 의해 내용이나 양상이 변할 수 있다.
·현실적 사고(합리적 사고) - 이성이나 논리에 의해 교정되는 사고
3)사고장애
: 사고의 진행형식에서 본 장애와 사고내용에서 본 장애로 대별된다.
①사고의 진행형식에서 본 장애
·관념분일: 연상이 끊임없이 비약하여 사고의 목표를 정할 수 없다.
·사고 억제: 생각하는 진도가 늦으며, 착상능력의 결핍 ·전도곤란 ·결단의 지체 등을 나타낸다. 이것은 모두 조상태 또는 울상태 때에 나타난다.
·우원사고 : 답답하도록 느린 사고로 전간증 환자나 노인들에게서 볼 수 있다.
·멸렬: 사고가 갑자기 끊어지는 사고두절이나 사고의 연관성을 잃어버리게 된다. 이것은 정신분열증에서 나타난다.
·보속: 관념이 되풀이된다. 뇌의 기질질환에서 볼 수 있다.
· 강박관념: 특정의 관념이 압도적으로 의식을 점유하고 있을 때 비조리성의 판단력이 가하여진 것.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