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혈의 기본원칙
1) 혈액의 가온(Blood warming)
2) 혈액 주입시간(Time Limits)
3) 정맥주입용액의 동시사용(Concomitant use of I.V solution)
4) 혈액필터의 사용(filters)
2. 혈액성분제제
1) 전혈(whole blood)
2) 농축적혈구(Red Blood Cell:RBC)
3) 혈소판 제제(platelet)
4) 신선동결혈장(fresh frozen plasma : FFP)
5) 동결침전체제(Cryoprecipitates)
6) 백혈구 제거 적혈구(Leukocyte-Depleted RBCs)
3. 수혈부작용
1) Acute hemolytic reaction
2) Febrile, non-hemolytic reaction(가장 흔함)
3) Mid - allergic reaction
4) Anaphylactic reaction
5) Circulatory overload
6) Sepsis
7) Delayed hemolytic reaction
4. 실제 수혈방법
본문내용
1) 혈액의 가온(Blood warming)
차가운 혈액을 1분당 100㎖ 이상의 속도로 수혈할 경우 가온 혈액을 수혈할 경우에 비해 심장마비를 일으킬 확률이 높다. 그러나 1∼3단위의 혈액을 수 시간에 걸쳐 천천히 투여하는 환자에 있어서 가온혈액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혈액의 온도가 38℃를 넘으면 안된다. (→40℃ 이상에서는 열에 의한 적혈구 손상이 일어나므로)
♣온혈기(Blood warmer) 사용의 적응
ⅰ) 성인환자에 시간당 50㎖ /㎏ 이상의 빠른 속도로 대량 수혈을 하는 경우
ⅱ) 영아의 교환수혈
ⅲ) 소아에게 시간당 15㎖ /㎏ 이상의 수혈을 요하는 경우
ⅳ) 한랭응집소를 가진 환자에게 수혈하는 경우
ⅴ) 중심도맥관(Central Catheter)을 통한 빠를 수혈시
참고 자료
http://nopain365.com/transfusion.html
http://nis.snu.ac.kr/blood
임상실무 지침서 / 한국병원 간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