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갯벌의 정의
1. 갯벌이란?
2. 갯벌의 기능
3. 한국의 갯벌
(2) 한국간척사업의 현황
1. 시화호
2. 새만금
(3) 간척사업의 부작용
(4) 외국의 간척사업
(5) 한국갯벌의 보존방향
Ⅲ. 결론(나의생각)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지난해 세계적인 과학잡지 「Nature」지는 갯벌의 경제적인 가치를 지구생태의 총 가치의 5%로 추정한 바 있다. 이는 전 세계의 호수와 강이 갖는 생태계 가치와 맞먹는 것으로, 갯벌이 지구 생태계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 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갯벌은 전 지구생태계의 면적의 0.3%에 불과하나 단위 면적 당 생태적 가치는 농경지의 100배, 숲의 10배에 해당하기 때문에 좁은 면적에도 불과하고 지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산이다. 갯벌은 주인 없이 버려져 있는 쓸모없는 땅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바다를 풍요롭게 가꾸어 온 우리의 산하이며, 우리 나라의 한 부분이다. 바로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우리의 귀중한 자연 유산이다.
그러면 이러한 갯벌의 능력, 기능과 가치와 갯벌에 대한 우리나라의 간척사업의 현황과 함께 간척사업으로 파생된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다.
참고 자료
◆ 참고문헌 ◆
1. 한국의 갯벌/대원사/홍재상/1998
2. 생태 경제 연구회 새만금 경제성분석 재평가 자료
3. (온가족이 함게읽는)살아있는 갯벌이야기/박용해/창조문화사/1999
4. 환경생태학/오계헌·송홍규·최성찬 공편/동화기술/1999
5. 지구자원과 환경/전용원편/서울대학교출판부/1997
◆ 참고사이트 ◆
http://www.sos.kfem.or.kr(새만금갯벌살리기운동)
http://www.kfem.or.kr/wet(한국의 갯벌)
http://www.karic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