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이론적 접근
2. 원조교제란무엇인가(정의,유래,범위,유형)
3. 일본의 원조교제와 한국의 원조교제(일본,한국,비교)
4. 매춘과 원조교제(매춘, 원조교제)
5. 사례
6. 원조교제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7. 대처방안
8. 현행법
III.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이론적 접근
10대의 원조교제도 크게 보면 여성비행의 하나라고 보고, 과연 학문적으로는 원조교제에 대해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1) 긴장이론
긴장이론은 1950년대부터 이미 Durkehim의 전통을 이어받은 Merton의 아노미이론을 보다 발전시킨 것이다. 이 이론에서 비행은 사회의 전 구성원이 합법적 대상으로 인정하는 문화적 목표와 그를 달성하는데 필요로 하는 제도화된 수단간의 괴리와 긴장에서 발생된다고 본다. 즉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수단에 접근하는데 있어서 구조적으로 제약이 많은 계층은 이 양자간의 괴리로 인한 심리적 긴장 및 소외감이 누적되어 규범을 위반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 『비상구 없는 일본의 에로스』, 김지룡, 1997, 시사플러스
- 『賣春』- 전국 사창가와 창녀실태, 윤일웅, 1987, 동광출판사
- 『한국 사람들』, 대홍라이프스타일조사, 1999, 대홍
- 「여학생 비행의 실태와 학교의 대응방안」, 한국여성개발원, 1999
- 「마산·창원을 중심으로 청소년 매매춘 실태조사」, 임혜숙, 1998
- 「성산업 유입 청소년의 사회복귀에 관한 법률적 검토」, 박미숙, 1999
- 「매매춘의 원인분석과 대책」, 이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