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제 3 장 고시가에 나타난 아니마의 제양상
제 4 장 현대시의 아니마 연구
제 5 장 결 론
본문내용
국문학에서 시가라 함은 고전시가를 연상하고 또 그렇게 일컬어지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한국시가’라 함은 현대시도 포함시킨다. 왜. 여기서 논의된 한국시가는 ‘한시, 속요, 시조, 가사, 현대시’이다. 이 책의 의도는 한국 시가에 대한 연구 실적을 통시적 측면에서 조명, 그 성과를 점검, 성찰하고, 아울러 각개 업적의 연구사적 의의와 그들의 발전적 맥락을 다듬어 보는 데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