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1. 유교사상의 적용과 표출
2. 문화의 기저에 있는 불교사상
3. 고소설에 나타난 도교사상
4. 습합의 형태로 드러나는 무격사상
Ⅲ. 나오며
본문내용
고소설의 배경으로서 사상 문제를 논의함은 곧 내용에 대한 고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내용이야말로 주제를 결정짓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사상은 주제의 배경이 되고 주제는 사상의 핵심이 된다.
사상에는 정치사상, 사회사상, 경제 사상 등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으나, 이러한 사상은 모두 종교 사상에 바탕을 두고 형성될 수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종교 사상을 중심으로 고소설의 사상을 다루고자 한다. 우리 선조들이 살아온 정신 생활의 참 모습은 종교사상에서 찾아볼 수 있고 종교가 인간 정신면에 끼친 영향은 실로 막대한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김준영 『고소설론』(도서출판 월인, 2000)
『국문학개론』(형설출판사, 1997)
『한국고전문학사』(형설출판사, 1992)
한국고전소설론편찬위원회편 『한국고전소설론』(새문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