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작업환경
1. 직업환경측정의 목적
2. 작업환경측정의 법적근거
3. 작업환경의 측정방법
나. 건강진단
1. 건강진단의 뜻과 노력
2. 건강진단 사후 관리
3. 사업장 건강진단
본문내용
1)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측정
: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작업환경에 대한 기초자료는 역학조사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것으로 동일그룹별로 유해물질의 노출 농도범위, 노출 분포를 평가하기 위한 측정이
다. 이 측정은 진단을 위한 시료채취가 필요한지 혹은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한지
그리고 노출이 타당한지를 결정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측정
이다.
2) 진단을 위한 측정
: 작업장에서 근로자에게 가장 큰 위험을 초래하는 작업과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알아
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특정한 작업이나 상황에 대한 노출평가를 목적으로 하며
노출위험의 원인을 찾아서 가장 적절하고 효율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자료를 제
공하기 위한 측정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