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1) 사림의 대두
2) 사림의 정치적 성장
3) 사림의 세력 기반
4) 붕당 정치의 시작
본문내용
Ⅰ.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1) 사림의 대두
① 시기 : 성종 때를 전후하여 등장
② 연원 : 고려 말 온건파 사대부의 제자
③ 학풍
㉠ 절의, 명분 중시
㉡ 경학에 치중, 성리학 이외의 학문과 사상을 이단으로 배척
㉢ 향촌 자치 표방, 도덕과 의리를 숭상하고, 학술과 언론을 바탕으로 하는 왕도 정치 추구
㉣ 주로 3사에 진출하여 언론, 문필직 담당
2) 사림의 정치적 성장
① 사림의 성장 : 훈구파의 농장 확대 비판 -> 사림의 정치력 강화
② 사화의 발생
③ 조광조의 개혁 정치 : 왕도 정치 실현 추구
㉠ 정치 : 현량과 실시(사림 등용)
㉡ 경제 : 공납제의 폐단 시정
㉢ 사회 : 불교 도교 행사 폐지, 소학 교육 강화, 향약의 전국적 시행 추진
㉣ 결과 : 훈구 세력의 반발 -> 기묘사화
3) 사림의 세력 기반
① 서원 : 선현을 받들고 교육과 연구에 주력 -> 학문의 지방 확대, 사림의 특권강화 (양반 지위 보장, 면역의 특권)
② 향약 : 전통적인 향촌 규약에 삼강 오륜의 윤리를 가미한 향촌 규약 -> 사림의 향촌 지배력이 지방관보다 강화
4) 붕당 정치의 시작
① 배경 : 16세기 후반 사림의 정권 장악으로 양반 계층의 정치 참여 폭이 확대, 한정된 관직과 경제적 특권을 둘러싼 사림 상호간의 대립과 반목
② 출현 : 이조 전랑직을 둘러싼 정쟁으로 동·서 분당
③ 영향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