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토피아를 읽고.(유토피아와 한국사회중 내가 살고 싶은 나라는?) 유토피아는 “u-topia”와 “good-place”에서 유래한말로 이 세상에 없는 곳, 환상적이고 공상적인 것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유토피아는 1권과 2권으로 나뉘어져있어 1권은 주로 ..
18세기 영국에서 출판되자마자 금서가 되어버린 책, ‘걸리버 여행기’를 동화책이 아닌 소설책으로 접했을 때 받았던 문화 충격이 아직도 가시지가 않는다. 언론의 자유를 인정하는 등 변화하는 사회였지만 ‘걸리버 여행기’는 너무나도 영국 사회를 정확히 꼬집어 신랄하게 비판..
오이디푸스왕(운명을 따라간 남자 !!!) 자유의지란 인간이 신에 의해 창조될 때 부여 되었다는 이르는 말로 내적자유를 말한다. 이러한 내적 자유에는 선택의 자유, 의지결정의 자유로써 인식된다. 운명이란 인간을 포함한 모든 것을 지배하는 필연적이고 초월적인 힘, 또는 ..
<서론> 1)몰리에르에 대해서... 프랑스의 극작가 배우 본명은 장 밥티스트 포클랭(Jean Baptiste Poquelin) 파리에서 태어나 당시 시민의 자제로서 최고에 가까운 교육을 받았으나 학업을 끝마칠 무렵 여배우 마들렌 베자르를 알게 되어 가업을 버리고 “성명..
다른 생각 이야기 컴퓨터공학 담당 : 백선희교수님 앤틸로프 호의 외과의사였던 걸리버는 항해도중 심한 폭풍과 암초 때문에 난파당하고, 겨우 목숨을 건져 한 섬에 도착하게 된다. 그 섬은 "사람들의 키는 약 15cm에 조금 못 미치며, 초목이나 동물들도 이와 같은 비율로 ..
■ 체호프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in: 체호프 소설전집 『사랑의 언어』 김현택 역(중앙 M&D)) 1. 작가는 책 제목을 왜 구체적인 여인의 이름이 아닌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이라고 정했는지 생각해 보자. 왜 책의 제목이 안나 세르게예브나가 아닌 개를 데리..
『호밀밭의 파수꾼』 홀든 콜필드의 행동이 많은 젊은이들의 공감을 얻어냈다고 하는데, 꼭 그의 행동이 공감을 얻을 만한 행동이기만 한 것일까? 유년시절의 방황과 혼란은 누구나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그 방황과 혼란을 격렬하게 겪은 사람도 있을 것이고, 어렵지 않게 겪은 ..
3. 성별 유형화에 따른 일탈 현상의 개념과 세 부족사회에서의 일탈현상을 살펴보고, 우리 사회에서의 성 정체성과 관련된 일탈현상과 그에 따른 사회적 대안에 대해 논의해보자. 성별유형화란 남성. 여성에 대해 정의되어진 각각의 특징들을 말하는 것으로서, 성별 유형화에 따른..
중 간 과 제 <그림형제 동화 전집> 디자인학부 04503001 김 보람. - 낭만주의자들이 민담동화를 중요한 문학 장르로 간주한 이유는? - 우선 낭만주의자들은 앞 시대인 고전주의시대가 와해된 이후 나타나게 되었다. 고전주의가 와해되면서 낭만주의가 나타나게 된 이유..
※ 안티고네 에게 죄가 있는가 없는가? 안티고네 에게 에게 죄가 있는가 없는가를 물으려면 일단 실정법과 자연법 중 어느쪽을 더 중시하느냐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한다. 자연법을 중시하면 안티고네에게 죄가 없을 것이고, 실정법을 중시하면 죄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난..
<지하생활자의수기> <수정궁>의 환상에 대한 공격에서 드러나는 작가의 생각은? 지하생활자는 문명이 발달하여 인간의 모든 행동이 수학과 논리로 계산되어지고 예측될 수 있는, 마치 대수표와 같이 계산되어져 있는 상태를 수정궁이라 칭했다. 그곳에선 오직 이성과 과학에 의존하..
◈ 성별 유형화에 따른 일탈 현상의 개념과 세 부족사회에서의 일탈 현상을 살펴보고, 우리 사회에서의 성 정체성과 관련된 일탈 현상과 그에 따른 사회적 대안에 대해 논의해보자. 이 책에서 저자는 성별에 따른 유형화란 어떤 특정한 기질 -예를 들어 모성적 성품, 예술적 성..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1. 작품 속에 드러난 대결 구도를 모두 찾아보자. 저는 이 소설 속에 드러난 대결 구도를 대략적으로 찾아서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작품에서 작중 인물들은 배타적으로 공존하는 두 세계와 접촉합니다. 우선, 이 두 세계는 난장이 (꼽추, 앉은..
어렸을 때부터 나는 책을 읽을 때 내가 좋아하는 책만 골라서 읽었다. 그것이 버릇이 되어 이제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가벼운 이야기들을 주로 읽는 편이다. 그런 나에게 '지하생활자의 수기'는 너무 무겁고도 어려운 주제들로 이루어진 읽기 싫은 소설이었다. 그래서인지 이 ..
<<세 부족 사회에서의 성 역할 형성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에 따른 고정관념에 대해 논의해보자.>> 마가렛 미드는「세부족 사회에서의 성과 기질」에서 남성성과 여성성은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는 문화결정론을 주창했다. 주어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