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10) ① 체육과의 성격 규정(기능적, 학문적, 규범적 성격을 동시에 공유하는 종합 교과) ② 체육 목표의 일원화(최종 성취 기준 목표 설정) ③ 학습 내용 체계 일원화 및 적정화(필수+선택) ④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지침의 구체..
<영 어> 1.7차 영어과 Cu의 보완(해.124)× 3 ①열린 교육의 기반 위에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권장 ②수요자의 흥미, 관심, 욕구를 존중하는 학생중심 Cu ③6활동/놀이 중심으로 성취기준(학습 내용)을 구성하여 음성언어를 터득한 후에 문자언어교육으로 들어..
0.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51-52) ① 포괄적이고 연계있는 음악과 교육과정 ② 우리 음악 문화의 창달을 위한 국악 교육 ③ 활동 중심의 음악 교육 ④ 문제 해결력과 창의성 신장을 위한 음악교육 ⑤ 타당성 있는 음악과 평가 1. 우리 음악 문화의 창달을 위한..
총 론 1. 교육과정을 교육내용을 결정하는 주체에 따라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지침'.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구분한 이유 p7, 9 2.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 교육체제로 전환하기 위해서 각 교육주체 측면에서 해야 할 일은..
<사회> 0. 내용조직의 원리 ×5 ① 환경확대법 ② 나선형 교육과정 원리에 따라 확대 ③ 통합 (주제+문제, 내용+방법, 생활경험+지식) ④ 내용의 핵심과 범위를 설정 ⑤ 기본과 심화 과정의 성취 수준 제시 1. 환경확대법 제한점 보완 방법 ① 각 학년별로 지구촌적..
《도덕과 수업모형》 1. 도덕과 교수학습의 일반적 절차-해, 지총, 위 도덕적 문제 사태 제시→문제 사태와 관련된 규범 찾기→규범의 의미와 타당성 찾기→도덕적 판단의 연습→실천 동기 부여 1차시 2차시 3차시 중심이 되는 도덕성 영역 인지적 영역 중심 정의적 영역 중심..
수 학 0. 외국의 수학 교육의 동향 ① 수학 교육 목표의 정립을 위해 부단히 노력 ② 기초, 기본 기능의 배양을 강조 ③ 문제 해결을 여전히 강조하며 더욱 발전적으로 전개 ④ 계산기 및 컴퓨터의 활용과 수업 전략 개발에 노력 ⑤ 수학 교육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평가..
1. 개정의 기본 방향 ×4 (161) ① 영역의 통합화 ② 지도 내용의 양과 수준의 적정화 ③ 지도 내용의 조직의 체계화 ④ 국가?사회 중점 내용 반영 2. 3개의 영역 통합화 할 때 고려한 점 ×2 ① 학생 발달 단계 ② 실생활의 유용성 3. 내용 양과 수준 적정..
즐거운 생활 1. 즐생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3 (132) 1. ① 현장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의 개선 ② 7차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부응 ③ 국내외 교육과정 통합 경향성에 따른 강조점변화에 부응 2. 현장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5 2. ① 통합의 기본 정신과 현장..
슬기로운 생활 <개정의 중점> 1. 1) 완전한 통합 이루려는 조치 *2 (92) 1. ① 개념 중심의 틀에서 벗어나 활동 중심으로 내 용 선정 ? 조직 ② 상급학년에서 배우는 수학, 과학, 사회, 기술 등의 교과와 연계성 지니도록 구성 (but 개념적면에서 이들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