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과 수업 『수업의 예술』독후감- 수업의 예술을 만나다 드라마를 보며 작품 속에 빠져 내가 주인공이 되어 마음이 정화될 때, 시를 읽으며 내 마음을 들켜버린 듯한 기분이 들며 짜릿할 때, 영화를 보며 마음 속 깊은 곳에서 감동을 느껴 눈물을 흘릴 때, 나는 이렇..
가르침의 예술 ‘수업의 예술’이라는 책 제목을 처음 접했을 때 가장 먼저 나에게 떠오른 생각은 '수업을 어떻게 잘해야 ‘예술’의 경지까지 이르르지?' 라는 생각이었다. 마침 다음 주에 당장 참관이긴 하지만 실습을 나가게 되어 수업 방식과 아이들과의 소통 등등에 대한 고..
-교육과정과 수업 최종 보고서- 열정적인 교사가 되기 위하여 교수님께서는 수업시간에 우리들과 직접 대화를 나누며 수업을 하셨고, 그래서 그런지 다른 교과 시간에 배운 많은 지식들보다도 교육과정 수업 시간에 오고 간 말들이 더 기억에 오래 남는다. 하지만 그 이유가 '대..
-최종 강의 소견서- 교육은 ‘신앙’과 ‘이성’의 교차점에서 존재한다. 오늘의 수업 주제는 ‘신앙과 이성의 관계’이다. 이러한 주제는 교육과정 이론에서 핵심적인 존재이며, 교육을 올바르게 정의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존재하는 지금의 상황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하는 시기적절한..
‘수업의 예술’을 읽고 ‘수업의 예술’ 제목을 보는 순간 깊은 생각에 빠졌다. ‘예술이라.... 도대체 예술이 어떤거지?’ 사실 ‘예술’이라는 단어가 생소한 것은 전혀 아니다. 그런데 수업의 예술이라고 하니, 갑자기 예술이 어떤 것인지 묻게 되었다. 사전을 찾아보았다...
● 교육과정의 개념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여라. -교육과정의 개념은 단순히 교육내용의 항목들을 열거한 교수요목이라는 고전적인 개념에서부터 수업의 구성과 개발의 개념, 평가의 개획, 의도의 범위에서 결과의 범위에까지 확장된 잠재적 교육과정을 포함하는 범위까지의 개념. -교..
<교육과정과 수업> 제1장 학문적 탐구 분야로서의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고전모형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가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근거에 의하여 그 가치가 입증되거나 납득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 교육과정 운동을 일컫는다. 일상생활에서 당면..
「교육과정이론」요약 - 제2부 : 제6장 제2부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 : 제6장 지식의 형식 교육 내용의 두 유형에는 지식과 기술이 있다. 이 중에서 지식은 ‘하는 지식’과 ‘보는 지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하는 지식’은 외적인 사태 변화를 위해 조치를 취하는 데에..
<교육과정과 수업> 제 9 장 교사의 수업 전문성 교직이 하나의 직업이라는 것은 오늘날 어느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일 것이다. 어느 직업이든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는 다소간 전문성이 요청되며, 교사의 경우에는 그것이 ‘수업 전문성’ 이라는 형태로 강조..
「교육과정이론」요약 - 제2부 : 제4장 제2부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 : 제4장 형식도야이론 ‘형식도야’에서 형식은 교육내용 또는 교과의 형식을 가리킨다.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교과에도 형식과 내용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개념상으로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