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 5장 3절 수취제도와 농민생활 1)연령등급제와 결부제 통일기 신라는 대부분 상경연작을 하지 못하고 1년 경작하고 땅을 쉬게 하는 휴한농법이 행해졌다. 신라 촌락문서에 따르면 당시 신라의 촌락민은 연령에 따라 몇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삼국 시대에도 연령등급..
[한국고대사] 2장 2절 부여국의 흥망 1) 부여국의 대두 (1) 서단산 문화와 노하심 유적 부여는 지린시 일대 지역에서 늦어도 기원전 2세기 초 무렵 발흥하였다. 이 일대느 청동기시대에 서단산 문화가 발달한 곳으로, 서단산 문화는 선 부여 문화이고 서단산 문화 토기가..
[한국고대사] 2장 7절 초기 고대국가의 국가구조와 정치운영 1) 부체제 구조 (1) 부와 부내부 한국에 있었던 초기 고대국가의 구조와 운영에는 초기국가의 형성과 운영에서 중핵을 이루는 집단에 의한 부체제라는 일정한 공통성을 찾아볼 수 있다. 고조선의 상을 우두머리로 ..
[한국고대사] 3장 1절 고구려의 대외적 팽창과 국가체제 정비 1) 4세기 초 대내외 정세 3세기 중반 고구려는 대내외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있었다. 대내적으로는 고유명 부의 소멸과 방위명 부의 등장이 상징하듯, 각 부의 자치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왕위의 부자계승 원칙이..
[한국고대사] 3장 2절 백제의 남천과 영역국가 체제의 진전 1) 고구려와의 싸움과 한성 상실 390년대 들어 백제는 고구려의 압박에 대응하여 예성강 유역에서 여러 차례 교전을 벌였다. 그러나 396년 아신왕 때에 광개토왕의 공격을 받아 큰 타격을 입고 화친을 맺었다...
[한국고대사] 2장 1절 고조선 등장과 변천 1) 고조선의 대두 시기 문헌에서 조선이란 실체가 처음 확인된 것은 《관자》를 통해서이다. 《관자》에 따르면 조선은 기원전 685년 이전에 성립하여 산동성 지역에 존재한 제나라에 그 존재가 알려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전..
[한국고대사] 5장 1절 중대 지배체제의 성립 1)중대 왕실의 등장 진평왕은 자신의 아버지인 태자 동륜의 직계 후손을 신성한 혈족이라 강조하여 이를 성골이라 하였다. 이는 곧 선덕여왕의 정통성의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선덕여왕은 제위 내내 정통성 문제에 시달려야 했고,..
[한국고대사] 4장 삼국시대의 문화 1. 한문학과 사서편찬 1)한자의 사용 한자의 전래 이전에 문자를 사용한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가장 이른 유물로는 기원전 1세기 낙랑 고분에서 목간, 벼루, 서도용 칼과 한자가 새겨진 인장 등이다. 또한 고조선계 이주민의 유구로 ..
[한국고대사] 2장 3절 고구려의 발흥 1) 고구려의 성립 (1) 자연환경 고구려가 발흥한 압록강 중류 지역은 산과 계곡이 많은 산간지대이며 큰 평야가 발달되지 않아 자연 산물이 풍부하지 못했다. 고구려는 하천을 따라 교류하였고 정치적 결속도 마찬가지였다. 고구려 초기..
부체제론에 대한 비판 요지 - 서강대 이종욱 교수의 의견을 중심으로 - 문리대학 역사문화학과 0481122 정혜교 1. 부체제론의 문제점 : 부체제론은 삼국사기 초기기록에 대한 수정론적 관점에 입각해 있으면서도, 의견 전개에 필 요한 텍스트는 별다른 비판 없이 근거로 ..